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이 있는 한국 제일의 포교전법도량이다. 1911년 한용운과 이회광이 중동중학교 자리에 각황사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 1915년 포교와 교육사업을 위해 31본산 연합사무소를 설치했으며, 1929년 승려대회를 열어 조선불교 선교양종의 종헌을 제정하고 중앙교무원을 설립했다.
1937년 조선불교총본산을 설립하기로 결의하고, 17만 원의 경비를 들여 1938년 각황사를 지금의 자리로 이전했다. 이때 삼각산에 있던 태고사를 이곳으로 옮겨오는 형식을 취해 절이름을 태고사로 바꾸었다. 1955년 이 절을 중심으로 불교정화운동이 전개되면서 다시 절이름을 조계사로 고쳤는데, 현재 대부분의 절은 조계종에 속해 있다.
경내에는 대웅전을 비롯한 현대식 건물인 불교회관과 불교정화기념관 등이 있다. 대웅전 앞뜰에 있는 사리탑은 1930년 스리랑카의 달마파라가 가져온 석가모니의 진신사리 1과를 봉안한 것이다. 그밖에 상원사에서 가져온 동종 등이 있다.
☞ 조계사 관람 개요 등
오늘은 안동 집에도 못가고 하여, 작은아이 성대 기숙사에 가져달라는 옷가지들 가져다 주고, 돌아오는 길에 늘 기회되면 가보고 싶었던 곳, 대한민국 불교의 조계종 총본산인 조계사를 들러보았다.
혜회동 성균관대에서 창경궁을 지나, 종로거리를 걸으면서, 탑골공원도 지나고, 종묘, 종각역을 지나 조계사까지 걸어서 갔다.
코로나로 인해 많이 한산한 서울도심, 처음 와 본 곳이라 이리저리 두루 살피며 서울의 거리를 천천히 걸었다. 물씬 풍겨나는 가을의 정취를 느끼며, 언제 이곳을 이렇게 느긋하게 걷겠나 하는 생각으로,,,
조계사는 서울 도심의 한가운데 자리하고 있었으며, 국화 등으로 공룡 등 군상들을 만들어 두었고, 대웅전 안에는 신도들이 부처님께 정성스레 배례하는 모습들이 보였다. 나 또한 두손을 모아
부처님에게 나와 우리 가족의 안위와 행복을 바라면서 삼배를 하고, 조계사 여기저기를 사진에 담았으며, 극락전에 들어가서도 부처님에게 같은 마음으로 삼배하였다. 앞전 2년전 코엑스 앞 봉은사와는 조금 다른 느낌을 주는 조계사를 뒤로하고 안국역까지 걸어가는 길에 광화문 광장을 가 볼까도 생각했지만 맘이 내키지 않아 그냥 안국역에서 3호선 지하철을 타고 가락시장역에 내려 관사로 돌아 왔다.